각 구별 종사자수는 어디서 찾나?
고용노동통계조사 홈페이지에서 찾아볼 수 있다.
시간이 된다면 들어가서 직접 살펴보자.
서울 각 구별 종사자수
행정구역(시군구)/산업별 고용(표준산업분류9차, 종사자 1인이상 사업체) 조사 결과
2019년 하반기 기준
산업별: 전산업
전체 종사자가 적은 순부터
(출처: 고용노동통계)
종사자수는 일자리수라고도 볼 수 있다.
각 구별 종사자수 그래프
강남구가 압도적으로 종사자수,
일자리가 많다.
각 구별 종사자수와 주요 지하철역
종사자수와 주요 지하철역을 정리해 보았다.
구 | 전체종사자 (명) | % | 각 구별 주요 지하철역 |
도봉구 | 53,770 | 1.2% | 7호선: 도봉산역 1호선: 도봉산역, 도봉역, 방학역, 창동역 4호선: 쌍문역, 창동역 |
강북구 | 54,575 | 1.2% | 4호선: 수유역, 미아역, 미아사거리역 우이신설경전철: 4.19묘지역, 가오리역, 화계역, 삼양역, 삼양사거리역, 솔샘역 |
은평구 | 67,953 | 1.5% | 3호선: 구파발역, 연신내역, 불광역, 녹번역 6호선: 연신내역, 독바위역, 구산역, 불광역, 역촌역, 응암역, 새절역, 증산역 공항철도: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중랑구 | 73,299 | 1.6% | 7호선: 먹골역, 중화역, 상봉역, 면목역, 사가정역 KTX: 상봉역 경의중앙선: 중랑역, 상봉역, 망우역, 양원역 6호선: 봉화산역, 신내역 |
성북구 | 87,087 | 1.9% | 4호선: 한성대입구역, 성신여대입구역, 길음역 우이신설경전철: 정릉역, 북한산보국문역 6호선: 보문역, 고려대역, 월곡역, 상월곡역, 돌곶이역 |
동작구 | 91,634 | 2.0% | 7호선: 신대방삼거리역, 장승배기역, 상도역, 숭실대입구역, 남성역 9호선: 노량진역, 노들역, 동작역 1호선: 노량진역 2호선: 신대방역, 사당역 |
관악구 | 92,377 | 2.0% | 2호선: 신대방역, 신림역, 봉천역, 서울대입구역, 낙성대역, 사당역 |
노원구 | 96,703 | 2.1% | 7호선: 수락산역, 마들역, 노원역, 중계역, 하계역, 공릉역, 태릉입구역 4호선: 당고개역, 상계역, 노원역 1호선: 월계역, 광운대역, 석계역 |
양천구 | 98,215 | 2.1% | 5호선: 신정역, 목동역, 오목교역 2호선: 신정네거리역, 양천구청역 9호선: 등촌역, 염창역, 신목동역 |
서대문구 | 99,584 | 2.2% | 3호선: 홍제역, 무악재역, 독립문역 경의중앙선: 디지털미디어시티역 2호선: 홍대입구역, 신촌역, 이대역, 아현역, 충정로역 |
광진구 | 106,240 | 2.3% | 7호선: 중곡역, 군자역, 어린이대공원역, 건대입구역, 뚝섬입구역 2호선: 건대입구역, 구의역 5호선: 군자역, 아차산역, 광나루역 |
동대문구 | 111,000 | 2.4% | 1호선: 신설동역, 제기동역, 청량리역, 회기역, 외대앞역, 신이문역 2호선: 신설동역 5호선: 답십리역, 장한평역 |
용산구 | 122,807 | 2.7% | 6호선: 효창공원앞역, 삼각지역, 이태원역, 한강진역 4호선: 숙대입구역, 삼각지역, 이촌역 경의중앙선: 효창공원앞역, 이촌역, 서빙고역, 한남역 1호선: 용산역, 남영역, 서울역 KTX: 서울역, 용산역 |
강동구 | 125,074 | 2.7% | 5호선: 천호역, 강동역, 길동역, 굽은다리역, 명일역, 고덕역, 상일동역, 둔춘동역 8호선: 암사역, 천호역, 강동구청역 9호선: 중앙보훈병원역, 둔촌오륜역 |
성동구 | 146,814 | 3.2% | 2호선: 상왕십리역, 왕십리역, 뚝섬역, 성수역 5호선: 신금호역, 행당역, 왕십리역, 마장역, 답십리역, 장한평역 3호선: 금호역, 옥수역 분당선: 서울숲역, 왕십리역 경의중앙선: 옥수역, 응봉역, 왕십리역 |
구로구 | 189,587 | 4.1% | 1호선: 온수역, 오류동역, 개봉역, 구일역, 구로역, 신도림역 2호선: 신도림역, 대림역, 도림천역 7호선: 온수역, 천왕역, 남구로역, 대림역 |
금천구 | 211,518 | 4.6% | 1호선: 가산디지털단지역, 독산역 7호선: 가산디지털단지역 |
강서구 | 220,803 | 4.8% | 5호선: 방화역, 개화산역, 김포공항역, 송정역, 마곡역, 발산역, 우장산역, 화곡역 9호선: 김포공항역, 신방화역, 마곡나루역, 양천향교역, 가양역, 증미역 공항철도: 김포공항역, 마곡나루역 김포골드라인: 김포공항역 |
마포구 | 224,008 | 4.9% | 6호선: 디지털미디어시티역, 월드컵경기장역, 마포구청역, 망원역, 합정역, 상수역, 광흥창역, 대흥역 2호선: 합정역, 홍대입구역 경의중앙선: 디지털미디어시티역, 홍대입구역, 서강대역, 공덕역 5호선: 마포역, 공덕역, 애오개역 공항철도: 디지털미디어시티역, 홍대입구역, 공덕역 |
종로구 | 229,119 | 5.0% | 3호선: 독립문역, 안국역, 종로3가역 5호선: 광화문역, 종로3가역 1호선: 종각역, 종로3가역, 종로5가역, 동대문역 4호선: 동대문역 6호선: 창신역, 동묘앞역 |
송파구 | 305,027 | 6.7% | 2호선: 종합운동장역, 잠실새내역, 잠실역, 잠실나루역 8호선: 석촌역, 송파역, 가락시장역, 문정역, 장지역, 복정역, 몽촌토성역, 강동구청역 9호선: 종합운동장역, 삼전역, 석촌고분역, 석촌역, 송파나루역, 한성백제역, 올림픽공원역, 둔춘오류역 5호선: 올림픽공원역, 방이역, 오금역, 개롱역, 거여역, 마천역 3호선: 오금역, 경찰병원역, 가락시장역 |
중구 | 334,191 | 7.3% | 2호선: 시청역, 을지로입구역, 을지로3가역, 을지로4가역, 신당역 4호선: 서울역, 회현역, 명동역, 충무로역,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5호선: 을지로4가역,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청구역 3호선: 을지로3가역, 충무로역, 동대입구역, 약수역 6호선: 약수역, 버티고개역, 청구역, 신당역 공항철도: 서울역 KTX: 서울역 |
영등포구 | 335,706 | 7.3% | 5호선: 양평역, 영등포시장역, 신길역, 여의도역, 여의나루역 2호선: 문래역, 당산역 1호선: 신길역, 대방역 9호선: 선유도역, 당산역, 국회의사당역, 여의도역, 샛강역 7호선: 대림역, 신풍역, 보라매역 |
서초구 | 420,095 | 9.2% | 9호선: 구반포역, 신반포역, 고속터미널역, 사평역 3호선: 잠원역, 고속터미널역, 교대역, 양재역 2호선: 사당역, 서초역, 교대역, 강남역 7호선: 이수역, 내방역, 고속터미널역, 반포역, 논현역 신분당선: 청계산입구역, 양재역 |
강남구 | 671,197 | 14.7% | 7호선: 논현역, 학동역, 강남구청역, 청담역 9호선: 신논현역, 언주역, 선정릉역, 삼성중앙역, 봉은사역 2호선: 강남역, 역삼역, 선릉역, 삼성역 3호선: 압구정역, 신사역, 매봉역, 도곡역, 대치역, 학여울역, 대청역, 일원역, 수서역 분당선: 압구정로데오역, 강남구청역, 선정릉역, 선릉역, 한티역, 도곡역, 구룡역, 개포동역, 대모산입구역, 대청역, 수서역 SRT: 수서역 |
총합 | 4,568,383 |
종사자수가 많은 순서대로 세 개 구를 살펴보면
강남구는 2호선, 3호선, 7호선, 9호선, 분당선
서초구는 2호선, 3호선, 7호선, 9호선, 신분당선
영등포구는 1호선, 2호선, 5호선, 7호선, 9호선이다.
종사자수가 많은 구를 지나가는 지하철 라인은
2호선, 3호선, 7호선, 9호선이라고 볼 수 있다.
그 다음이 5호선 정도인 거 같다.
그래서 2,3,7,9호선 지하철역 근처이고,
아파트값이 비싸다고 볼 수 있다.
직장까지 환승하지 않고 갈 수 있으니까.
서울 전체 종사자수는 456만명
2018년 기준 통계청 자료를 보면
서울의 총 인구는 967만 3936명이다.
서울의 총 가구는 398만 1741가구다.
가구대비 종사자수가 더 많다.
1가구에 2명 이상 일할 경우도 많겠지만,
인구대비 가구대비 종사자수가 많은 거 같다.
다른 지역도 조사하면 확인할 수 있을 거 같다.
강남3구인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강남3구 종사자수 합은 약 139만명이다.
강남구 671,197명
서초구 420,095명
송파구 305,027명
합계 1,396,319명이다.
강남3구만 합쳐셔 전체 종사자수의 30.5%다.
원 자료
지역별 |
2019 2/2 | ||||||
전체종사자 (명) | 빈일자리 (명) | 빈일자리율 (%) | 입직자 (명) | 입직률 (%) | 이직자 (명) | 이직률 (%) | |
도봉구 | 53,770 | 1,203 | 2.3 | 1,448 | 2.9 | 1,136 | 2.3 |
강북구 | 54,575 | 835 | 1.7 | 1,881 | 4 | 1,300 | 2.8 |
은평구 | 67,953 | 547 | 0.9 | 1,681 | 2.7 | 1,325 | 2.2 |
중랑구 | 73,299 | 1,538 | 2.3 | 2,173 | 3.3 | 1,451 | 2.2 |
성북구 | 87,087 | 896 | 1.1 | 2,808 | 3.4 | 2,716 | 3.3 |
동작구 | 91,634 | 759 | 0.9 | 3,325 | 3.9 | 3,052 | 3.6 |
관악구 | 92,377 | 669 | 0.8 | 4,987 | 5.9 | 3,684 | 4.3 |
노원구 | 96,703 | 1,474 | 1.7 | 2,179 | 2.6 | 1,531 | 1.8 |
양천구 | 98,215 | 1,546 | 1.7 | 5,535 | 6.3 | 4,274 | 4.9 |
서대문구 | 99,584 | 880 | 1 | 2,139 | 2.4 | 2,253 | 2.5 |
광진구 | 106,240 | 1,292 | 1.3 | 3,518 | 3.6 | 4,257 | 4.3 |
동대문구 | 111,000 | 1,072 | 1 | 3,145 | 3 | 3,852 | 3.7 |
용산구 | 122,807 | 772 | 0.7 | 3,063 | 2.6 | 3,773 | 3.2 |
강동구 | 125,074 | 1,757 | 1.5 | 8,095 | 6.9 | 7,310 | 6.2 |
성동구 | 146,814 | 1,402 | 1 | 5,354 | 3.9 | 5,029 | 3.7 |
구로구 | 189,587 | 2,361 | 1.3 | 7,987 | 4.5 | 7,312 | 4.1 |
금천구 | 211,518 | 2,035 | 1 | 9,711 | 4.8 | 8,642 | 4.2 |
강서구 | 220,803 | 2,157 | 1 | 10,331 | 5 | 7,364 | 3.5 |
마포구 | 224,008 | 1,750 | 0.8 | 6,615 | 3.2 | 7,014 | 3.3 |
종로구 | 229,119 | 1,316 | 0.6 | 6,436 | 2.9 | 6,166 | 2.8 |
송파구 | 305,027 | 3,625 | 1.2 | 15,368 | 5.3 | 13,118 | 4.6 |
중구 | 334,191 | 1,908 | 0.6 | 10,938 | 3.4 | 11,318 | 3.5 |
영등포구 | 335,706 | 2,667 | 0.8 | 13,307 | 4.2 | 12,073 | 3.8 |
서초구 | 420,095 | 4,698 | 1.2 | 21,522 | 5.4 | 19,803 | 4.9 |
강남구 | 671,197 | 6,530 | 1 | 30,913 | 5 | 26,604 | 4.3 |
총합 | 4,568,383 |
서울의 각 구별 인구수, 가구수
통계청 인구, 가구 및 주택 - 읍면동(2015), 시군구(2016~) 자료
서울의 각 구별 인구수(명), 가구수(가구) 2018년 통계
원 자료(출처: 통계청)
각 구별 인구수 그래프
인구수가 적은 순으로 정렬
각 구별 인구수, 가구수, 종사자수 표: 구 이름순
구 이름순으로 정렬.
구 | 인구(명) | 가구수(가구) | 전체종사자(명) |
강남구 | 507,810 | 206,323 | 671,197 |
강동구 | 414,231 | 161,943 | 125,074 |
강북구 | 309,138 | 129,610 | 54,575 |
강서구 | 578,539 | 238,901 | 220,803 |
관악구 | 510,303 | 247,871 | 92,377 |
광진구 | 362,304 | 156,764 | 106,240 |
구로구 | 433,765 | 174,431 | 189,587 |
금천구 | 249,344 | 108,167 | 211,518 |
노원구 | 534,096 | 203,647 | 96,703 |
도봉구 | 328,243 | 127,249 | 53,770 |
동대문구 | 358,141 | 155,542 | 111,000 |
동작구 | 397,980 | 168,420 | 91,634 |
마포구 | 368,181 | 159,850 | 224,008 |
서대문구 | 318,874 | 132,305 | 99,584 |
서초구 | 409,491 | 157,716 | 420,095 |
성동구 | 306,796 | 128,602 | 146,814 |
성북구 | 438,734 | 177,489 | 87,087 |
송파구 | 638,167 | 247,410 | 305,027 |
양천구 | 445,591 | 164,048 | 98,215 |
영등포구 | 395,286 | 166,047 | 335,706 |
용산구 | 226,938 | 98,580 | 122,807 |
은평구 | 462,552 | 183,289 | 67,953 |
종로구 | 157,967 | 68,180 | 229,119 |
중구 | 129,797 | 57,318 | 334,191 |
중랑구 | 391,668 | 162,039 | 73,299 |
합계 | 9,673,936 | 3,981,741 | 4,568,383 |
각 구별 인구수, 가구수, 종사자수 표: 가구수 순
가구수 순으로 정렬.
구 | 인구 | 가구수 | 전체종사자 |
중구 | 129,797 | 57,318 | 334,191 |
종로구 | 157,967 | 68,180 | 229,119 |
용산구 | 226,938 | 98,580 | 122,807 |
금천구 | 249,344 | 108,167 | 211,518 |
도봉구 | 328,243 | 127,249 | 53,770 |
성동구 | 306,796 | 128,602 | 146,814 |
강북구 | 309,138 | 129,610 | 54,575 |
서대문구 | 318,874 | 132,305 | 99,584 |
동대문구 | 358,141 | 155,542 | 111,000 |
광진구 | 362,304 | 156,764 | 106,240 |
서초구 | 409,491 | 157,716 | 420,095 |
마포구 | 368,181 | 159,850 | 224,008 |
강동구 | 414,231 | 161,943 | 125,074 |
중랑구 | 391,668 | 162,039 | 73,299 |
양천구 | 445,591 | 164,048 | 98,215 |
영등포구 | 395,286 | 166,047 | 335,706 |
동작구 | 397,980 | 168,420 | 91,634 |
구로구 | 433,765 | 174,431 | 189,587 |
성북구 | 438,734 | 177,489 | 87,087 |
은평구 | 462,552 | 183,289 | 67,953 |
노원구 | 534,096 | 203,647 | 96,703 |
강남구 | 507,810 | 206,323 | 671,197 |
강서구 | 578,539 | 238,901 | 220,803 |
송파구 | 638,167 | 247,410 | 305,027 |
관악구 | 510,303 | 247,871 | 92,377 |
합계 | 9,673,936 | 3,981,741 | 4,568,383 |
가장 많은 가구가 사는 지역은
관악구, 송파구, 강서구, 강남구, 노원구, 은평구 순이다.
종사자수-가구수 순으로 정렬했을 경우
최소 1가구에 1명이 일한다고 가정했을 경우
종사자수보다 가구수가 많다는 것은
그 지역에서 일자리를 찾지 못하고
다른 지역에서 일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종사자수-가구수 숫자가 적은 순서대로
살펴보면 베드 타운 특성이 강한 지역과
자족 도시 특성이 강한 지역을 구분할 수 있다.
구 | 인구 | 가구수 | 전체종사자 | 종사자수-가구수 |
관악구 | 510,303 | 247,871 | 92,377 | -155,494 |
은평구 | 462,552 | 183,289 | 67,953 | -115,336 |
노원구 | 534,096 | 203,647 | 96,703 | -106,944 |
성북구 | 438,734 | 177,489 | 87,087 | -90,402 |
중랑구 | 391,668 | 162,039 | 73,299 | -88,740 |
동작구 | 397,980 | 168,420 | 91,634 | -76,786 |
강북구 | 309,138 | 129,610 | 54,575 | -75,035 |
도봉구 | 328,243 | 127,249 | 53,770 | -73,479 |
양천구 | 445,591 | 164,048 | 98,215 | -65,833 |
광진구 | 362,304 | 156,764 | 106,240 | -50,524 |
동대문구 | 358,141 | 155,542 | 111,000 | -44,542 |
강동구 | 414,231 | 161,943 | 125,074 | -36,869 |
서대문구 | 318,874 | 132,305 | 99,584 | -32,721 |
강서구 | 578,539 | 238,901 | 220,803 | -18,098 |
구로구 | 433,765 | 174,431 | 189,587 | 15,156 |
성동구 | 306,796 | 128,602 | 146,814 | 18,212 |
용산구 | 226,938 | 98,580 | 122,807 | 24,227 |
송파구 | 638,167 | 247,410 | 305,027 | 57,617 |
마포구 | 368,181 | 159,850 | 224,008 | 64,158 |
금천구 | 249,344 | 108,167 | 211,518 | 103,351 |
종로구 | 157,967 | 68,180 | 229,119 | 160,939 |
영등포구 | 395,286 | 166,047 | 335,706 | 169,659 |
서초구 | 409,491 | 157,716 | 420,095 | 262,379 |
중구 | 129,797 | 57,318 | 334,191 | 276,873 |
강남구 | 507,810 | 206,323 | 671,197 | 464,874 |
합계 | 9,673,936 | 3,981,741 | 4,568,383 |
베드 타운 성격의 지역
관악구, 은평구, 노원구, 성북구, 중랑구,
동작구, 강북구, 도봉구, 양천구, 광진구
자족 도시 성격의 지역
강남구, 중구, 서초구, 영등포구, 종로구,
금천구, 마포구, 송파구, 용산구, 성동구,
구로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