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금리다.
금리가 급격히 떨어졌다.
2008년에는 글로벌 금융위기 때문에
2020년에는 코로나19로
전세계 경제침체 때문에
한국은행에서 금리를 급격히 낮췄다.
아래 그래프를 보라.
가장 급격히 떨어진 시기가
바로 두 시기다.
한국은행 기준금리 변동추이
(출처: 한국은행)

기준금리 변동추이
변경일자 | 기준금리 | |
2020 | 05월 28일 | 0.50 |
2020 | 03월 17일 | 0.75 |
2019 | 10월 16일 | 1.25 |
2019 | 07월 18일 | 1.50 |
2018 | 11월 30일 | 1.75 |
2017 | 11월 30일 | 1.50 |
2016 | 06월 09일 | 1.25 |
2015 | 06월 11일 | 1.50 |
2015 | 03월 12일 | 1.75 |
2014 | 10월 15일 | 2.00 |
2014 | 08월 14일 | 2.25 |
2013 | 05월 09일 | 2.50 |
2012 | 10월 11일 | 2.75 |
2012 | 07월 12일 | 3.00 |
2011 | 06월 10일 | 3.25 |
2011 | 03월 10일 | 3.00 |
2011 | 01월 13일 | 2.75 |
2010 | 11월 16일 | 2.50 |
2010 | 07월 09일 | 2.25 |
2009 | 02월 12일 | 2.00 |
2009 | 01월 09일 | 2.50 |
2008 | 12월 11일 | 3.00 |
2008 | 11월 07일 | 4.00 |
2008 | 10월 27일 | 4.25 |
2008 | 10월 09일 | 5.00 |
2008 | 08월 07일 | 5.25 |
2007 | 08월 09일 | 5.00 |
2007 | 07월 12일 | 4.75 |
2006 | 08월 10일 | 4.50 |
2006 | 06월 08일 | 4.25 |
2006 | 02월 09일 | 4.00 |
2005 | 12월 08일 | 3.75 |
2005 | 10월 11일 | 3.50 |
2004 | 11월 11일 | 3.25 |
2004 | 08월 12일 | 3.50 |
2003 | 07월 10일 | 3.75 |
2003 | 05월 13일 | 4.00 |
2002 | 05월 07일 | 4.25 |
2001 | 09월 19일 | 4.00 |
2001 | 08월 09일 | 4.50 |
2001 | 07월 05일 | 4.75 |
2001 | 02월 08일 | 5.00 |
2000 | 10월 05일 | 5.25 |
2000 | 02월 10일 | 5.00 |
1999 | 05월 06일 | 4.75 |
※ 2008년 2월 까지는 콜금리 목표, 2008년 3월부터는 한국은행 기준금리
2008년 8월 7일 5.25이던 금리는,
2009년 2월 12일 2.0까지 떨어졌다.
2018년 11월 30일 1.75이던 금리는
2019년 5월 28일 0.5까지 떨어졌다.
2009년 당시 공동주택 통합 매매 실거래가격지수

서울의 경우 2008년 6월 88.4에서
2008년 12월 74.5까지 떨어졌다
그런데 갑자기 오르기 시작해서
2010년 1월 88.8까지 오른다.
그 뒤로 서서히 내려간다.
그 시기 금리 변동을 보자.
2008년 08월 07일 5.25
2008년 10월 09일 5.00
2008년 10월 27일 4.25
2008년 11월 07일 4.00
2008년 12월 11일 3.00
2009년 01월 09일 2.50
2009년 02월 12일 2.00
금리 하락이 2008년 10월부터
본격화된다.
그리고 2008년 12월까지 떨어지던
실거래지수가 2009년 1월부터
오르기 시작한다.
2020년 공동주택 통합 매매 실거래가격지수

2018년 10월 116.4에서
떨어지기 시작,
2019년 3월 111.9에서
다시 오르기 시작한다.
코로나19로 2020년
3월 4월 주춤.
5월부터 다시 급격히
오르고 있다.
그 기간 금리를 보자.
2018 11월 30일 1.75
2019 07월 18일 1.50
2019 10월 16일 1.25
2020 03월 17일 0.75
2020 05월 28일 0.50
2019년 7월 18일 1.5이고
2020년 5월 28일 0.5니
1/3로 떨어졌다.
2009년 당시를 생각해본다면
2020년 6월부터 더 급격히
집값이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
언론들이 부동산 기사를
계속 쏟아내고 있는 시점도
6월부터로 일치한다.
실제로 M2 광의통화량이
너무 급격히 늘고 있다는 기사가
나오고 있다.
물론 부동산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들은 많다.
주택 공급, 정부의 LTV 등 규제 등
다 같이 살펴봐야겠지만
최근의 금리 변화는 다른 어떤
요인들의 변화보다 급격한 변화다.
관련 글
□ 지난 2008년 경제위기 때 서울 부동산 가격은 언제 얼마나 떨어졌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