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 연구/조사

이명박 정부, 박근혜 정부, 문재인 정부(~2020년 8월까지) 공동주택 통합 매매 가격 실거래가격지수 그래프와 표로 비교해 보기

모난Monan 2020. 11. 30. 23:00
반응형

이명박 정부, 박근혜 정부, 문재인 정부 임기

세 정부의 임기는 다음과 같다.

 

정부 임기 자료 기준 년월
이명박 정부 2008년 2월 25일부터 2013년 2월 24일까지 2008년 3월 ~ 2013년 2월
박근혜 정부 2013년 2월 25일부터 2017년 5월 9일까지 2013년 3월 ~ 2017년 4월
문재인 정부 2017년 5월 10일부터 2022년 5월 9일까지 2017년 5월 ~ 2022년 8월

 

※ 노무현 대통령 참여 정부 때 자료는 2006년 1월 이후만 있다. 그 이전 자료는 신빙성이 떨어진다.

통계청 주택 실거래가격지수 자료가 2006년 1월 이후부터 있는 이유는 참여정부 때 부동산 실거래가 신고제도가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과거 법령: 공인중개사의 업무 및 부동산 거래신고에 관한 법률 현행 법령: 부동산 거래신고 등에 관한 법률 ) 2006년 이전 자료는 실거래가보다 낮춰 적는 다운 계약 등 이중 계약이 많아 믿을 수 없다. 그래서 참여 정부 이전 정부는 제외했다.

※ 박근혜 정부의 임기 끝을 2017년 4월로 했다. 5월은 9일로 1/3이 채 되지 않으므로.

※ 문재인 정부는 11월 30일 현재 2022년 8월까지만 자료가 있어서 이때까지 자료로 정리했다.

 

비교 자료 공동주택실거래가격지수

비교 자료는 공동주택실거래가격지수다.

공동주택에는 아파트 및 연립.다세대가 포함된다.

통계설명자료(출처: 통계청)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자료 그대로 받아서 올린다. 관심 있는 사람은 원자료를 살펴보기 바란다.

그래프도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그래프다. 표 자료도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자료 그대로다.

공동주택_통합_매매_실거래가격지수_20201130220825.xlsx
0.01MB

용어 설명

수도권: 서울,경기,인천
지방: 전국에서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
광역시: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지방광역시: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울산(인천을 제외한 5개 광역시)
지방도: 경기도를 제외한 8개 도

 

이명박 정부 2008년 3월 ~ 2013년 2월

공동주택_통합_매매_실거래가격지수_20201130213222.xlsx
0.01MB

수도권

공동주택 통합 매매 실거래가격지수 2008년 3월 ~ 2013년 2월 수도권, 서울, 인천, 경기(출처: 통계청)

그래프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임기 초에 가격이 급격히 올랐다가 급락한 뒤에 다시 급등하고 천천히 내려갔다.

 

처음과 끝만 비교하면 아래와 같다.

행정구역 2008년 3월 2013년 2월 증감률
수도권 92.2 83.3 -9.7%
서울 84.4 78.8 -6.6%
인천 97.0 87.3 -10.0%
경기 96.4 85.6 -11.2%

수도권 중심으로 보면 이명박 정부 때는 공동주택 실거래가격지수가 -9.7% 내려갔다.

 

전국 수도권외 지역

공동주택 통합 매매 실거래가격지수 2008년 3월 ~ 2013년 2월 전국, 지방, 광역시, 지방광역시, 지방도(출처: 통계청)
(출처: 통계청)

행정구역 2008년 3월 2013년 2월 증감률
전국 81.2 84.2 3.7%
지방 63.7 85.0 33.4%
광역시 70.9 80.6 13.7%
지방광역시 58.5 78.3 33.8%
지방도 69.0 91.6 32.8%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의 경우 이명박 정부 때 공동주택 가격이 33.4% 올랐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눈여겨 볼 점은 지방도가 32.8%나 올랐다는 점이다. 지방도는 경기도를 제외한 8개 도다.

 

지방이 왜 이렇게 많이 올랐을까. 아마 가장 큰 이유는 참여 정부 때 추진했던 혁신도시 정책 때문일 거 같다. 용지보상은 2009년 말에 대부분 완료 되었고, 공공기관 이전 및 혁신도시 개발은 이명박 정부 때 본격적으로 이뤄지기 시작했다. 혁신도시 정책과 내용에 대해서 정리해 봐야할 거 같다.

 

행정구역 2008년 3월 2013년 2월 증감률
수도권 92.2 83.3 -9.70%
서울 84.4 78.8 -6.60%
인천 97 87.3 -10.00%
경기 96.4 85.6 -11.20%
전국 81.2 84.2 3.70%
지방 63.7 85.0 33.40%
광역시 70.9 80.6 13.70%
지방광역시 58.5 78.3 33.80%
지방도 69 91.6 32.80%

 

박근혜 정부 2013년 3월 ~ 2017년 4월

공동주택_통합_매매_실거래가격지수_20201130214133.xlsx
0.01MB

수도권

공동주택 통합 매매 실거래가격지수 2013년 3월 ~ 2017년 4월 수도권, 서울, 인천, 경기(출처: 통계청)
(출처: 통계청)

 

행정구역 2013년 3월 2017년 4월 증감률
수도권 83.6 96.6 15.6%
서울 79.3 94.2 18.8%
인천 87.9 98.2 11.7%
경기 85.6 97.9 14.4%

박근혜 정부 때 서울의 경우 18.8%, 수도권은 15.6% 상승했다.

 

전국 수도권외 지역

공동주택 통합 매매 실거래가격지수 2013년 3월 ~ 2017년 4월 전국, 지방, 광역시, 지방광역시, 지방도(출처: 통계청)
(출처: 통계청)

행정구역 2013년 3월 2017년 4월 증감률
전국 84.6 98.3 16.2%
지방 85.4 100.1 17.2%
광역시 81.1 98.9 21.9%
지방광역시 78.8 99.2 25.9%
지방도 91.9 101.0 9.9%

박근혜 정부 때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인 지방도 수도권과 비슷한 수준인 17.2% 상승했다.

 

행정구역 2013년 3월 2017년 4월 증감률
수도권 83.6 96.6 15.60%
서울 79.3 94.2 18.80%
인천 87.9 98.2 11.70%
경기 85.6 97.9 14.40%
전국 84.6 98.3 16.20%
지방 85.4 100.1 17.20%
광역시 81.1 98.9 21.90%
지방광역시 78.8 99.2 25.90%
지방도 91.9 101.0 9.90%

박근혜 정부 때는 지방광역시가 가장 많이 올랐다. 지방도가 가장 적게 올랐고 전국이 대체로 골고루 올랐다.

 

문재인 정부 2017년 5월 ~ 2020년 8월

공동주택_통합_매매_실거래가격지수_20201130220734.xlsx
0.01MB

수도권

공동주택 통합 매매 실거래가격지수 2017년 5월 ~ 2020년 8월 수도권, 서울, 인천, 경기(출처: 통계청)
(출처: 통계청)

 

행정구역 2017년 5월 2020년 8월 증감률
수도권 97.4 123.7 27.0%
서울 95.3 138.8 45.6%
인천 99.1 109.4 10.4%
경기 98.4 117.3 19.2%

문재인 정부때 수도권은 27.0% 상승했고, 서울이 상승을 주도했다. 서울의 경우 45.6% 상승했다.

위 그래프를 보면 서울은 2020년 5월 이후 급등했다. 한국은행이 코로나19로 인해서 기준금리를 0.5%까지 낮춘 날이 2020년 5월 28일이다. 기준금리 인하로 인해서 시중에 통화량과 부동자금이 급증했고, 이 자금이 가장 안정적 자산이라고 볼 수 있는 서울 부동산에 집중된 영향이 크다고 볼 수 있을 거 같다.

(금리의 영향은 엄청나다. 금리의 영향이 잘 이해가 안 되거나 무슨 영향이 크냐고 반문하고 싶다면 Q. 금리, 이율, 이자율이 내려가면 왜 집값이 오를까? 이 글을 참고하자.)

 

전국 수도권외 지역

공동주택 통합 매매 실거래가격지수 2017년 5월 ~ 2020년 8월 전국, 지방, 광역시, 지방광역시, 지방도(출처: 통계청)
(출처: 통계청)

 

행정구역 2017년 5월 2020년 8월 증감률
전국 98.7 113.3 14.8%
지방 100.0 101.7 1.7%
광역시 99.2 109.3 10.2%
지방광역시 99.3 109.1 9.9%
지방도 100.8 94.2 -6.5%

문재인 정부 때 지방의 경우 1.7% 상승했다. 지방도의 경우 가격이 하락했다. 이는 혁신도시 개발이 대부분 완료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행정구역 2017년 5월 2020년 8월 증감률
수도권 97.4 123.7 27.00%
서울 95.3 138.8 45.60%
인천 99.1 109.4 10.40%
경기 98.4 117.3 19.20%
전국 98.7 113.3 14.80%
지방 100 101.7 1.70%
광역시 99.2 109.3 10.20%
지방광역시 99.3 109.1 9.90%
지방도 100.8 94.2 -6.50%

 

 

이명박 정부, 박근혜 정부, 문재인 정부 세 정부 증감률 살펴보기

행정구역 이명박 정부
2008년 3월 ~ 2013년 2월
박근혜 정부
2013년 3월 ~ 2017년 4월
문재인 정부
2017년 5월 ~ 2020년 8월
수도권 -9.70% 15.60% 27.00%
서울 -6.60% 18.80% 45.60%
인천 -10.00% 11.70% 10.40%
경기 -11.20% 14.40% 19.20%
전국 3.70% 16.20% 14.80%
지방 33.40% 17.20% 1.70%
광역시 13.70% 21.90% 10.20%
지방광역시 33.80% 25.90% 9.90%
지방도 32.80% 9.90% -6.50%

각 정부의 임기 시작과 끝의 실거래가격지수 변동률을 표로 나타내면 위와 같다.

 

정부의 임기 시작과 끝만 보고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할까?

정부의 임기 시작과 끝의 가격 지수만 보고 그 정부의 부동산 정책을 평가하는 것이 과연 올바른 일인지는 고민이 필요하다. 혁신 도시처럼 큰 도시를 1년만에 만들 수는 없다. 보통 대단지 아파트도 짓는데만 보통 2~3년이 걸린다. 이전 정부 정책이 영향을 끼치는 정도를 감안해서 평가해야 올바른 평가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명박 정부 때 지방도가 오른 이유를 설명할 때 혁신도시를 빼놓고 설명할 수 있을까? 혁신도시가 이명박 정부의 정책이었나. 아니다. 참여 정부의 정책이었다. 지방 부동산 가격 상승은 혁신 도시 정책 결과로서 어떻게 보면 당연한 결과다. 이명박 정부 때 지방 부동산 가격이 30% 이상 상승했으니 이명박 정부가 잘못했다는 주장은 합당하지 않다. 각 정부마다 이전 정부 정책의 영향에 대해서 합당한 평가가 필요한 이유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