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철도 교통

제3차 대도시권 광역교통시행계획 수도권 지역 정리 (2017-2020)

모난Monan 2020. 7. 14. 19:00
반응형

출처: 국토교통부 제3차 대도시권 광역교통시행계획

제2장 제2차 시행계획의 추진현황 및 평가

1. 2차 시행계획의 진행현황 및 성과 

 

제 2차 광역교통 시행계획 선정사업 수도권
제 2차 광역교통 시행계획 선정사업 진행현황 수도권
제2차 광역교통시행계획 수도권 추진성과

 

2. 2차 시행계획의 기조 및 한계

가. 계획의 기조

¡ 제2차 광역교통 시행계획은 기본계획에서 제시하고 있는 “대중교통 중심의 광역교통체계 구축을 통한 녹색교통환경 구축” 비전을 공유

- 제2차 시행계획은 철도, BRT, 환승시설을 연계할 수 있는 대중교통 중심의 광역대중교통망 구축에 중점

- 다만, 정체구간 해소를 위해 광역간선도로망 확충 및 기능개선도 병행

¡ 수도권

- 광역도로, 광역철도 및 환승시설 사업이 균형 있게 선정

- 단기실행이 가능하고 투자 대비 효율이 높은 광역BRT의 경우, 총 17 개의 후보대안 중 3개만 선정되었고, 추진률이 높지 않은 상황

나. 계획의 한계

¡ 선정사업의 집행률 저조

- 2차 시행계획에 포함된 사업 중 44%가 기간 내 미추진되어, 계획의 실효성 제고 필요

¡ 비전 및 목표에 부합하지 않는 사업 선정

- 대중교통 중심의 광역교통체계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선정사업 의 절반 이상이 광역도로사업에 집중

¡ 투자 대비 효율성이 높은 사업에 대한 고려 미흡

- 대규모 투자와 교통수요 확보가 어려운 수도권 외 광역시에서도 광역 BRT사업에 대한 선정과 투자가 상대적으로 미흡

- 수도권의 경우도 청라~화곡 간 BRT 이후 새로운 사업이 이어지지 못 하는 상황

제3장 광역교통여건 변화 및 문제점 진단 

1. 광역교통권역 및 교통축 

¡ 교통현황 진단과 교통시설 선정을 위한 범위는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 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에서 제시된 광역교통권역을 수용

¡ 광역교통축은 「사전광역교통체계 검토지침」을 참고하여, 광역도로를 중심으로 통행패턴을 고려하여 설정

◦ 수도권의 경우 기존 순환망은 모(母)도시 중심의 광역축으로의 역할이 미미하고, 주요 교통시설이 대부분 방사형 광역교통축과 중첩되어 제외

 

광역교통권역 및 교통축

 

2. 수도권 광역교통여건 변화 

가. 사회경제지표 변화

1) 인구수·학생수·종사자수

¡ 2011부터 2014년까지 수도권 인구는 연평균 0.5%, 종사자수는 3.1% 증가, 반면 학생수는 2.4% 감소하는 추세

¡ 2020년까지 증가율은 다소 둔화하나 인구수, 종사자수, 학생수의 현재 추세가 지속

 

수도권 인구수 학생수 종사자수 변화

 

2) 개발계획

¡ 다핵연계형 공간구조로 전환

- 지역 중심도시 간 연계를 강화하여 균형 있는 발전을 유도

- 택지개발계획은 서울 10개, 인천 18개, 경기 46개 등 총 74개

- 산업단지개발계획은 인천 5개, 경기 34개 등 총 39개

 

수도권 장래 개발계획 규모

 

나. 통행실태 현황

¡ 총 목적통행량은 2014년 이후 연평균 0.4% 증가하여 2020년 58,490천 통행/일로 변화, 그중 통근통행량은 24,440천통행/일로 42%를 차지

¡ 2020년 승용차 분담률은 32%로 2014년 대비 1%p 증가, 대중교통 분담률은 33%로 2014년 대비 2%p 증가

¡ 2020년 수도권 광역통행은 9,070천통행/일으로 전체 통행량의 16% 수준, 2014년 이후 연평균 1.5% 증가

¡ 2020년 광역통행 중 통근통행은 5,036천통행/일로, 2014년 이후 연평 균 1.6% 증가

¡ 승용차 분담률은 2020년 39%로 2014년 대비 2%p 감소, 반면 대중교 통 분담률은 51%로 2014년 대비 2%p로 증가

다. 교통시설현황

1) 도로시설

¡ 수도권 도로시설을 살펴보면 총 도로연장은 24,011㎞, 포장도로연장은 22,578㎞, 포장률은 평균 94% 수준

¡ 도로등급별 현황은 고속국도 795㎞, 일반국도 1,846㎞, 특별·광역시도 10,192㎞, 지방도 2,807㎞, 시도 7,411㎞, 군도 959㎞

2) 철도시설

¡ 수도권의 철도시설 중 도시철도는 362.4㎞, 일반철도는 22.0㎞, 광역철 도는 539.4㎞

3) 버스 및 전용차로시설

¡ 수도권에서 운영되는 광역버스노선은 총 223개, 전용차로는 총 74개, 410.6㎞ 운영중

4) 환승시설

¡ 수도권에 위치한 환승센터는 14개, 환승주차장은 97개, 공영차고지는 36개

라. 광역교통여건 진단

1) 도로여건 진단

¡ 수도권 광역도로의 일평균 교통량은 447만대, 평균 도로혼잡도(V/C)는 1.12로 용량을 초과한 상태

¡ 과천/안양축의 혼잡도가 가장 높으며 그 뒤로 의정부축, 하남축 순

¡ 첨두와 비첨두의 속도 차이가 큰 축은 성남축, 하남축, 과천/안양축 순

 

수도권 광역도로 교통현황 2015년 기준
수도권 광역도로 교통여건 전망 2020년 기준

 

2) 대중교통여건 진단

¡ 첨두시 수도권 광역버스의 차내 혼잡도는 평균 100%로 입석에 도달, 통행속도는 평균 25㎞/h 내외

¡ 수도권 광역간선급행버스체계(광역BRT체계)에는 총 74개 버스노선이 운영 중, 일반광역버스와 비교하면 속도차이는 1~2㎞/h에 불과 ¡ 특히 경부고속도로에는 과반수 이상인 53개 노선이 운영 중

¡ 수도권 도로의 평균 거리굴곡도(직선거리 대비 실제통행거리의 비율)는 1.4, 하남축과 고양/파주축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 대중교통의 평균 거리굴곡도는 1.3, 특히 인천-시흥/안산축, 하남축, 광명축, 인천-김포축의 거리굴곡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 대중교통을 이용한 광역통행은 승용차보다 통행시간이 평균 1.3배 더 소요

¡ 첨두시 1시간 내 서울거점으로 통행이 가능한 비율은 승용차 이용 시 72%, 대중교통 이용 시 61% 수준

(첨두 : 출퇴근 혼잡시간대)

 

수도권 광역버스 운행현황 2015년 기준

 

수도권 광역 brt 운행현황 2015년 기준
수도권 광역축별 교통운영 진단

마. 광역교통 문제점 진단

¡ 수도권의 모든 축에서 광역도로는 용량에 도달하여 첨두시 심각한 혼잡이 발생하고 있으며, 향후 통행량 증가로 혼잡은 보다 심화될 것으로 예상

¡ 따라서 단기간 내 개선효과가 나타날 수 있는 대중교통사업을 우선적으로 추진하고, 투자재원을 확보하여 체계적인 교통시설 확충을 진행

¡ 장래에도 대부분의 광역축에서 수요가 용량을 초과하므로, 저비용 고 효율 시설확충과 운영효율화 필요

¡ 특히 고양/파주축, 의정부축, 하남축, 과천/안양축, 광명축 등 5개축에 서는 심각한 혼잡이 예상되어, 대중교통으로 수단전환이 필요

 

수도권 광역축별 교통 문제점 진단 - 고양/파주축, 의정부축
수도권 광역축별 교통 문제점 진단 - 구리축, 하남축
수도권 광역축별 교통 문제점 진단 - 성남축, 과천/안양축

 

 

 

수도권 광역축별 교통 문제점 진단 김포축, 인천-김포축, 인천-시흥/안산축

 

7. 권역별 광역교통 예상 문제점 진단

- 수도권 - 

◦현재 도로는 용량상태, 버스는 입석이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향후 지속적인 개발계획으로 인한 인구 및 종사자수의 증가로 광역통행이 더욱 늘어나 혼잡은 점차 심화될 것으로 전망

◦승용차를 이용하는 광역통행은 0.7% 소폭 증가가 예상되어, 기존 도로사업을 중심 으로 조속한 완공을 추진

◦이에 반해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광역통행의 증가(2.4%) 및 수단전환을 유도하기 위해, 대중교통 운영효율 제고 및 속도 개선을 위한 철도 및 BRT 서비스 도입을 검토

제4장 광역교통 시행계획의 비전 및 목표

1. 제3차 광역교통 시행계획의 기조

ㅇ 광역철도 및 광역BRT 등 대중교통사업을 확대 → 도로사업은 계속사업을 중심으로 검토 → 비수도권에서도 광역대중교통시설의 기능을 강화

ㅇ (지역특성 고려) 비전은 공유, 목표는 권역별 특성을 고려하여 개별수립 → 공통비전 : 출퇴근이 편안한 대중교통

ㅇ 검토대안 선정 시 지자체 현안사업 등 추진의지와 시급성이 높은 사업을 수용

ㅇ 계획의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해 선정사업을 단기, 중기, 추가검토사업으로 구분

    → 단기사업(계획 기간 내 추진할 사업), 중기사업 (추진이 필요한 사업이나, 재정여건상 단기 간 내 사업추진이 불확실한 사업), 추가검토사업(단기간 내 사업추진은 어려우나, 장래 여건 변화 등에 따라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한 사업)

종사자수 증가 등 여건변화를 고려하여 광역통행 중 출퇴근/첨두 통행을 중심으로 진단 → 통근 시 이용자가 체감하는 서비스수준을 실시간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

ㅇ 교통여건 진단결과를 정량화하여 사업 선정과정에 반영

2. 시행계획의 비전 설정 

 

제3차 광역교통 시행계획 비전

 

3. 권역별 목표 수립

-수도권-

◈ 만족도 높은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

◦광역대중교통 인프라 조속 추진

◦광역교통수단간 환승편의 제고

철도 급행화를 통한 통행시간 단축

 

◈ 효율적인 광역교통 운영체계 구축

◦정기적인 계획 및 협의 기구 활성화

◦안정적인 광역교통 관련 재원 발굴

◦협력적 행정시스템 개선

 

◈ 실효성 있는 핵심사업 추진

 

 

 

제5장 주요 추진 대책 

1. 광역간선교통망 개선방향

가. 수도권

¡ 간선광역교통시설(철도)저비용 고효율 교통시설(BRT와 환승시설)을 구축하여, 대중교통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승용차 이용을 억제

 

수도권 광역간선교통망 축별 문제점 및 개선방향 - 고양/파주, 의정부, 구리, 하남
수도권 광역간선교통망 축별 문제점 및 개선방향 - 성남, 과천/안양, 광명, 인천/부천, 김포, 인천-김포, 인천-시흥/안산

 

2. 광역교통시설 후보대안 

가. 광역교통시설 후보대안 선정기준

¡ 권역별로 상이한 교통여건을 반영하여 선정기준을 차별화

1) 광역도로

 

광역도로 선정기준

 

2) 광역철도

 

광역철도 선정기준

 

3) 간선급행버스체계(BRT)

 

광역BRT 선정기준

 

4) 환승시설

 

환승시설 선정기준

 

5) 공영차고지

 

공영차고지 선정기준

 

나. 광역간선도로망 계획

1) 수도권

¡ 광역간선도로망 구축을 위한 후보사업은 16개, 총 연장은 88.2㎞, 총 사업비는 2조 1,104억원

¡ 16개 사업 중 확포장사업이 12개, 신설사업이 4개

 

광역간선도로망 계획 수도권

 

 

 

다. 광역간선철도망 계획

1) 수도권

¡ 광역간선철도망 구축을 위한 후보사업은 28개, 총 연장은 531.8 (541.8)㎞, 총 사업비는 41조 4,516(42조 6,513)억원

¡ 28개 사업 중 광역철도 23개(82%), 도시철도 5개(18%)

 

광역간선철도망계획 수도권 1

 

 

 

광역간선철도망계획 수도권 2

 

라. 광역간선급행버스체계(BRT) 계획

1) 수도권

¡ 광역간선급행버스체계 구축을 위한 후보사업은 20개, 총 연장은 374.9(408.5)㎞, 총 사업비는 7,934억원

 

광역간선급행버스체계 BRT 계획 수도권

 

마. 환승시설 및 공영차고지 계획

1) 수도권

¡ 환승시설 - 대중교통 이용활성화를 위한 환승체계구축후보사업은 총 29개

 

환승시설계획 수도권

 

3. 광역교통시설 선정사업 

가. 광역교통시설 선정단계 설정

¡ 광역교통여건을 개선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추진이 필요한 사업을 선 정하는 기준을 정립

¡ 선정단계 정의

- 단기사업 : 계획 기간 내 추진 사업

- 중기사업 : 필요한 사업이나, 재정여건상 사업추진이 불확실한 사업

◦ 광역철도사업의 경우 일부 사업을 ‘추가검토사업’으로 분류하여, 장래 여건변화 등 에 따라 재검토(제3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과 동일)

 

광역교통시설 선정단계 기준

 

나. 광역도로 선정사업

1) 수도권

¡ 금차 광역교통 시행계획에서 선정된 광역도로 사업은 9개

¡ 총 연장 48.9㎞, 총 사업비는 1조 1,516억원

¡ 4개 사업이 공사단계, 5개 사업이 계획단계

 

광역도로 선정사업 수도권 표
수도권 광역도로 사업 그림

 

다. 광역철도 선정사업

1) 수도권

¡ 금차 광역교통 시행계획에서 선정된 광역철도 사업은 13개

¡ 총 연장 359.9(369.9)㎞, 총 사업비는 26조 2,858(27조 4,855)억원

¡ 5개 사업이 공사단계, 4개 사업이 설계단계, 4개 사업이 계획·구상단계

 

광역철도 선정사업 수도권
수도권 광역철도 사업

 

라. 광역간선급행버스체계(BRT) 선정사업

1) 수도권

¡ 금차 광역교통 시행계획에서 선정된 광역간선급행버스체계(BRT) 사업 은 5개

¡ 총 연장 71.4(80.4)㎞, 총 사업비는 2,153억원

¡ 설계단계인 2개 사업과 계획단계이나 계획기간 내 추진할 1개 사업을 단기로 선정, 그 외 계획 및 구상단계인 2개 사업은 중기로 포함

 

수도권 광역간선급행버스체계 BRT 선정사업

 

 

 

수도권 광역간선급행버스체계 BRT 그림

 

마. 환승시설 및 공영차고지

1) 수도권

¡ 환승시설

- 금차 광역교통 시행계획에서 선정된 환승시설 사업은 총 17개, 복합 환승센터가 10개, 환승센터가 7개

- 1개 사업이 공사단계이며, 16개 사업은 계획 및 구상단계

 

수도권 환승시설 선정사업

 

 

 

수도권 환승시설 사업

 

제6장 광역교통 운영체계 개선방안

1. 광역교통시설 운영 효율화

-수도권-

◦광역도로

- 광역도로의 폭원 일관성을 유지하여 상습정체 개선

- 기 지정사업 중 관계기관 간 이견으로 장기 미착수된 사업(과천~우면산)은 지정해지를 검토

◦광역철도

- 서울중심의 방사형 철도노선에 외곽순환노선을 추가 구축하여 수도권 철도의 네트워크화 추진

∙ 별내선(구리~남양주 연결), 수인선(인천~시흥~안산~수원 연결)

- 광역버스 혼잡이 심각한 광역축에 광역철도서비스 확대

∙ 신분당선 연장(강남~용산, 성남축), 김포도시철도(한강신도시~김포공항, 김 포축)

◦광역BRT

-BRT노선과 철도노선이 중복되는 구간은 BRT노선 변경을 검토

∙ (대화역~강남 BRT 제안은 GTX A와 노선이 중복 → 대화역~김포공항역으로 노선을 변경하여 9호선을 이용하여 강남 접근을 유도)

- 기 설치된 광역BRT 이용 활성화를 위하여 기존노선 조정 및 신규노선 개발

∙ 현재 청라~강서간BRT에는 광역버스 7700번만 운행, 향후 인천/부천축의 25개 광역노선의 청라BRT 이용을 유도

◦환승시설

- 잠실역 또는 광교중앙역과 같이, 서울의 거점철도역에서는 버스와 철도를 직 접 연계할 수 있는 환승시설 확대

- 자동차전용도로 상부에 환승정류장을 설치하여 광역대중교통 이용편의 개선

- 스마트톨링 확대에 따른 톨게이트 여유부지에 광역버스 환승정류장 설치 검토

- 고속도로, 철도, 광역버스의 교차지점에 EX-허브사업을 확대

2. 광역교통 운영체계 개선

-수도권-

◦광역급행버스 노선 확충

- 광역철도망이 구축되기 전까지는 광역급행버스 노선을 확충하여 대중교통 이용 자에게 편의 제공

◦광역버스 서비스 개선

- 구리축과 김포축에서 운행되는 2층 버스 서비스를 과천/안양축(수원~사당)과 고양축(파주~광화문)에 공급 → 향후 수도권 성남, 용인, 화성, 광주, 하남으로 확대

- 주요 광역버스 정류장의 쉘터 개선, 줄서기 유도선 설치, 무료 와이파이 제공, 휴대폰 충전기 구비 등 서비스 개선

- 정기이용권 버스노선(부천~강남, 안양~강남) 확대

◦수도권교통본부 기능 강화

- 광역행정기구의 협의·조정·집행기능을 강화(노선조정 권한부여 등)

3. 광역교통 수요관리 방안

-수도권-

◦광역승용차 이용억제를 위해 대체수단을 제공 후 원인자부담 원칙을 적용

◦다양한 대중교통 관련 인센티브를 부여하여 자발적인 교통수요 감축을 유도

◦맞춤형 교통수요관리정책 시행

- 승용차 의존도가 높은 생활·레저 목적의 통행에 대한 공유교통 활성화

- 승용차 유발수요가 높은 시설에 대한 교통유발부담금 강화

- 도심과 부도심을 직결하는 대중교통서비스 제공, 업무택시 활성화를 통해 업무 통행의 승용차 의존도 저감

◦초고층 건축물을 교통혼잡특별관리구역 및 시설물로 지정 검토

제7장 투자계획 및 재원조달 방안 

1. 투자규모 산정

¡ 과거 교통시설별 투자비율과 장래 SOC 투자전망치를 바탕으로, 계획 기간 내 투자예산을 추정 ¡ 과거 7년간(‘09~’15년) 광역교통시설계정의 투자규모는 평균 약 8,000 억원, 그러나 연평균 8.8%감소 추세

 

과거 광역교통시설 계정 투자규모

 

¡ 국가재정운용계획과 중기투자교통시설계획의 교통시설별 투자비율과 예산추세를 반영한 계획기간(‘17~’20)의 총 가용투자규모는 4조 2,320 억원 수준

* 장래(‘15~’19) SOC 관련예산은 연평균 6.8% 감소추세

 

장래 광역시설 투자가능규모

 

¡ 제3차 광역교통 시행계획의 선정사업 투자규모는 총 3조 7,888억원, 광역도로는 5,024억원, 광역철도는 3조 338억원, 광역BRT는 1,933억 원, 환승센터는 593억원

* 광역교통 시행계획 상 투자계획은 재정여건에 따라 변할 수 있음

 

광역교통 시행계획 시설별 투자규모

 

2. 투자계획

¡ 금차 계획기간(‘17~’20) 동안 광역도로의 투자규모는 총 5,024억원, 계속사업은 4,531억원, 신규사업은 503억원

 

광역도로 투자계획

 

¡ 금차 계획기간(‘17~’20) 동안 광역철도의 투자규모는 총 3조 338억원, 계속사업은 2조 8,599억원, 신규사업은 1,739억원

 

광역철도 투자계획

 

¡ 금차 계획기간(‘17~’20) 동안 광역BRT의 투자규모는 총 1,933억원, 계 속사업은 1,568억원, 신규사업은 365억원

 

광역 BRT 투자계획

 

¡ 금차 계획기간(‘17~’20) 동안 환승센터의 투자규모는 총 593억원, 계속 사업은 135억원, 신규사업은 458억원

 

환승센터 투자계획

 

3.재원확보 방안

¡ 광역교통시설 사업에 대한 민간부문의 참여 유도

- 부족한 투자재원을 마련하기 위하여 민간자본 유치방안을 적극 모색

- 국내 민간투자뿐 아니라 외국인 투자 활성화 검토

¡ 투자재원의 다양화

- 조세 외의 채권발행을 통한 투자재원 확충 고려

- 광역교통시설의 사용료를 투자재원으로 활용

¡ 적정 교통SOC 투자규모에 대한 검토를 수행

- 적정 투자규모와 교통시설별 투자비율은 중앙정부뿐 아니라 광역도시 차원에서도 병행

- 예산 감소 등 여건변화를 투자규모 산정에 반영하고, 한정된 재원을 효율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방안 마련

¡ 교통관련 국가계획 수립과정에 지방자치단체가 적극 참여

- 사업추진단계 조정, 민간의 투자유도, 지역별 특성을 감안한 전략 수 립 등 계획의 실효성 제고

제8장 추진효과

1. 효과분석 지표

¡ 광역교통 시행계획의 효과분석을 위하여 산정이 용이하고 교통특성을 대표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선정

¡ 선정지표는 온실가스 배출량, 대중교통 분담률, 평균 도로혼잡도(V/C), 평균 통행속도

 

효과분석 위한 평가지표

 

 

2. 추진효과

¡ 2020년 광역교통 시행계획 미시행시와 시행시로 구분하여, 온실가스, 대중교통 분담률, 평균 도로혼잡도, 평균 통행속도를 비교

- 시행계획 추진을 통해 대도시권 온실가스 배출량은 미시행 시 대비 3.1% 감소

- 광역통행의 대중교통 분담률은 현재보다 2% 상승

 

광역교통 시행계획 추진효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