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부동산 정책 보기
(출처: 2020년 10월 7일 「용산공원 국제공모 당선 조성계획안(상세)」, 국토교통부 정책자료)
보고서가 엄청 방대하다.
마스터플랜만 살펴보려고 해도
몇백쪽이다.
파일은 위 출처를 눌러서 받아야 한다.
파일 용량이 크다.
파일을 받아서 열어보면
공원 조성 뒤 예상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보고서 차례
SECTION 1. 조경 | Landscape Architecture
I. 소개 | Introduction
1. 배경 | Background
2. 용산공원의 정체성 | Identity
3. 마스터플랜 | Masterplan
II. 설계 전략 | Design strategies
1. 지형 | Topography 54
2. 수체계 | Water system 88
3. 식생 | Vegetation
4. 동선 | Circulation
5. 프로그램 | Program
6. 출입구 및 경계부 | Entrance and edges
7. 공원 시설 | Facilities
8. 간이시설물 | Furnishings
9. 조명 | Illumination
10. 교량 | Bridges
11. 지하공간 | Underground spaces
12. 지속가능성 | Sustainability
13. 단계별 조성계획 | Phasing
14. 운영 및 관리 | Operation and maintenance
SECTION 2. 건축 | Architecture
I. 건축 | Architecture
1. 개요 | Summary
2. 기존건축물 현황분석 | Existing building analysis
3. 존치대상 기존건축물 선정 | Existing building selection for reuse
4. 기존건축물 활용전략 | Strategy for existing building reuse
5. 기존건축물 활용계획 | Program for existing building reuse
6. 건축계획 | Architectural design
7. 구조보강계획 | Structural strengthening strategy
8. 기계/전기설비계획 | Mechanical and electrical strategy
SECTION 3. 기반시설 | Infrastructure
I. 기반시설 | Infrastructure
1. 부지조성 계획 | Site plan
2. 우수공 계획 | Drainage plan
3. 상수공 계획 | Water supply plan
4. 오수공 계획 | Sewage plan
5. 관개용수 계획 | Irrigation plan
6. 수체계 계획 | Water system plan
7. 교통 계획 | Traffic plan
8. 구조물 계획 | Structure plan
9. 전기/통신 계획 | Electric / communication plan
부록 | Appendix
I. LID | Low Impact Development
II. 신재생에너지 | New Regeneration Energy
Ⅲ. 전략적 숲조성 및 생물다양성 | Strategic Forest and Biodiversity
Ⅳ. 건축부록 | Archite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