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통합형 주거사다리 구축을 위한 「 주거복지로드맵 」발표」 보도자료 전문 보기
「사회통합형 주거사다리 구축을 위한 「 주거복지로드맵 」발표」 인포그래픽과 설명서 전문 보기
「사회통합형 주거사다리 구축을 위한 「 주거복지로드맵 」발표」 참고자료 전문 보기
정부 부동산 정책 보기
보도자료 전문
(출처: www.molit.go.kr/USR/NEWS/m_71/dtl.jsp?lcmspage=13&id=95079992)
"본 보도자료는 국토교통부에서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입니다."
사회통합형 주거사다리 구축을 위한 「 주거복지로드맵 」 발표
□ 정부는 11.29(수) 관계부처 합동으로「사회통합형 주거사다리
구축을 위한 주거복지로드맵」을 발표하였음
▪ 생애단계별․소득수준별 맞춤형 주거지원
- [청년] 셰어형․창업지원형 등 맞춤형 청년주택 30만실 공급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신설 (금리 최고 3.3%, 이자소득 500만원까지 비과세]
월세대출 한도 확대 (30→40만원)
전세대출 1인가구 대출연령 제한완화 (25→19세 이상), 분할상환 허용
- [신혼] 신혼특화형 공공임대 20만호 공급
신혼희망타운(분양형) 7만호 공급 (수도권 4.7만)
특별공급 2배 확대 (공공 15→30%, 민영 10→20%)
전용 구입․전세자금대출 도입 (최저금리 구입 1.2%, 전세 1.7%)
- [고령] 무장애 설계 적용․복지서비스 연계 등 맞춤형 공공임대 5만호 공급
연금형 매입임대 (고령자 주택을 매입․리모델링하여 임대로 공급, 대금은 연금식 지급)
주택 개보수 지원을 위한 수선유지급여 지원 확대 (+50만원)
- [취약계층] 저소득층을 위한 공적 임대주택 41만호 공급
주거급여 지원대상 및 지원금액 확대
긴급지원주택 도입, 취약계층 주거지원사업 활성화
아동이 있는 빈곤가구 지원 강화 (전세임대 무상지원, 소액 주거비 대출)
그룹홈 활성화 및 재난․재해 피해주민 지원 강화
▪ 무주택 서민․실수요자를 위한 공적 주택 100만호 공급
- (공공임대) LH등 공공이 직접 공급하는 공공임대주택 총 65만호 공급
장기임대주택 대폭 확대(15만호 → 28만호)
도시재생사업과의 연계를 통해 도심내 공급 확대
(노후 공공청사 복합개발, 정비사업 재정착 리츠 등)
- (공공지원) 뉴스테이의 공공성을 강화한 공공지원주택 총 20만호 공급
[시세 미만의 초기임대료 적용, 무주택자 우선 공급 등 규제 강화)
☞ 공공임대․공공지원주택 확대를 통해 공적임대주택 재고율을 2022년까지 OECD 평균(8%)을 상회하는 9% 달성(재고 200만호↔2016년 6.3%)
- (공공분양) 공공분양주택을 총 15만호 공급(신혼희망 7만호 포함)
☞ 공공임대․공공지원․공공분양 등 공적 주택 100만호 공급 추진
- (민간분양)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되는 공공택지 공급을 연 8.5만호 수준(수도권 6.2만호)으로 확대하여 저렴한 민영주택 공급확대 유도
- (택지확보) 기 확보한 77만호 공공택지 외에 수도권 인근 우수한 입지에 40여개 신규 공공주택지구를 개발하여 16만호 부지 추가 확보
< 주택 100만호 공급계획(만호) >
구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합계 | 연평균 |
합계 | 18.8 | 19.9 | 19.9 | 20.5 | 20.9 | 100.0 | 20.0 |
공공임대(준공) | 13.0 | 13.0 | 13.0 | 13.0 | 13.0 | 65.0 | 13.0 |
공공지원(부지확보) | 4.0 | 4.0 | 4.0 | 4.0 | 4.0 | 20.0 | 4.0 |
공공분양(분양) | 1.8 | 2.9 | 2.9 | 3.5 | 3.9 | 15.0 | 3.0 |
▪ 법․제도 정비 및 협력적 주거복지 거버넌스 구축
- (법․제도) 주택임대차보호법을 법무-국토부가 공동소관(주거․부동산 정책과 연계강화)
공공임대주택 유형 통폐합 및 대기자 명부제도 개선
도심내 노후 영구임대단지 재건축을 통한 도심내 공급 확대
- (거버넌스) 지자체의 주거복지 조직 및 주거복지센터 전문인력 확충
지자체의 임대주택 입주자 선정권한 강화 및 투자규제 합리화
사회적 경제주체의 임대주택 공급 활성화를 위한 지원 강화
(기금 융자, 보증, 택지지원, 사회주택 허브리츠 설립 등)
※ 상세한 내용은 붙임 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